질량은 엄청나면서도 100억년 이상의 수명을 가진 일명 '청색 낙오성'(BSS)이
주변 별의 질량을 빼앗아 젊음을 유지한다는 이론이 있긴 합니다.
청색낙오성이 포함된 구상성단을 살펴본 결과 청색낙오성은 쌍성이 합쳐지면서
탄생되고 다른 별에 비해 젊게 보인다는 증거가 발표되었습니다.
지난 1950년 처음 발견된 청색 낙오성은 구상성단이나 노화된 상개성단에서
발견되는 뜨겁고 밝고 무거운 별입니다. 일반적으로 질량이 큰 별일 경우
수명이 짧은데 반해 청색낙오성은 100억년 이상이 구상성단에서 발견되지만
젊은 별처럼 밝고 뜨거워 그 탄생 원리를 두고 여러 이론이 제기됐습니다.
탄생원리 중 초기 성단의 쌍성 진화과정에서 두 개의 별이 질량 유입에 의해
하나의 별로 합쳐져서 만들어졌다는 이른바 '쌍성 병합설'이 학계의 가장 큰 지지를 받았습니다.
이번 크니크 박사의 연구팀 역시 이를 뒷받침하는 발견으로 학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연구팀은 56개의 구상성단에 위치한 청색 낙오성들의 개수와 그 무게에 대해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청색낙오성이 많이 포함된 구상성단은 무게가 더 많이 나갔습니다.
또 청색낙오성의 탄생 원리인 '쌍성'이 많이 포함된 구상성단 역시 무게가 많이 나갔습니다.
반면 쌍성이 포함된 구상성단에서의 폭발비율은 청색 낙오성의 개수와 일치하지
않은 점으로 미뤄 연구팀은 이는 청색 낙오성의 탄생에 대한 또 다른 이론을
부정하는 내용이며 동시에 '쌍성병합설'에 더 무게를 주는 결론이라고 판단했다.
이는 구상성단의 총 무게와 청색낙오성의 개수에는 높은 관련성이 있다는 점을
뒷받침하는 것 인데요 반면 청색 낙오성이 많이 몰려있는 무거운
성단의 핵에도 오히려 별들의 충돌 횟수는 적었습니다.
청색낙오성은 주변별의 질량을 흡수해 더 긴 수명을 유지하고 다른 별에
비해 더 밝게 빛나며 질량을 빼앗긴 나머지 별은 원래 지니고 있던 탄소 성분이
더 무거운 원소로 융합작용을 일으킨 뒤 나중에 죽음을 맞게 됩니다.
'과학·자연 > 과학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신과 닮은 로봇인형 미니-미 (0) | 2009.02.06 |
---|---|
[스크랩] [동영상 사진] UFO의 존재 - 지구에 온 UFO 콜렉션 (0) | 2009.02.04 |
[스크랩] [사진] 다이아몬드 UFO 2009년 1월 27일 캘리포니아 소쿠엘에서... (0) | 2009.01.30 |
[스크랩] 새해맞이 순찰비행? UFO 대거출현[스팟TV] (0) | 2009.01.13 |
[스크랩] [사진] 달위로 지나가는 삼각형 물체 - 2008년 10월 17일 (오전 3시 30분경) (0) | 2009.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