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스포츠 Health/머니 Money 재테크' 카테고리의 글 목록 (21 Page) :: 록키의 나만의 세상
728x90

 

Felix Dennis, 2008, 부자의 DNA에는 특별한 것이… 없다. 당신이 빈털터리라면 부자될 확률이 매우 높다. 아무것도 없으니 잃을 것도 없기 때문이다. 부자가 된 그들의 비밀 아닌 비밀 이야기. 조범구 액센츄어 코리아 첨단전자 및 통신산업 대표


"정말 앞만 보고 달렸습니다. 어느 정도 와서 뒤를 보니 돈이 조금 쌓여있더군요."


내가 아는 한 중소기업 사장한테 들은 얘기다. 그가 어떻게 해서 부자가 되었는가를 물었더니 열심히 일한 것 외에는 따로 특별한 게 없다는 설명이다.


주위를 둘러보면 우리가 아는 부자들은 대개 비슷한 특징이 있다. 돈 그 자체보다는 일을 먼저 생각했다는 점이다. 열심히 하다 보니 후행적으로 부(富)를 소유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다.


영국의 '잡지왕' 펠릭스 데니스(Felix Dennis)의 부자론(How to get rich)도 이 점에 동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안도감이 느껴진다. 부자라고 해서 특별한 유전자를 갖고 있거나 남들보다 더 나은 환경에서 출발하는 게 아니다.


우리는 모두 부자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저자는 다만 자신에게 더욱 솔직해질 것을 주문한다. 누구나 부자가 되기를 꿈꾸지만, 꿈으로 끝내지 말고 원한다면 쟁취하기 위해 움직이라고 역설한다. 소망은 그것을 이루겠다는 내적 강요(compulsion)가 없이는 헛된 것(futile)이라는 게 그의 지적이다.


그래서 그의 '부자 되기' 첫 번째 원칙은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게 무엇인지를 알라는 것이다. 그리고 강렬한 열망을 갖고 하고자 하는 일에 뛰어들라는 것이다.


좋은 아이디어는 실행이 없으면 아이디어에 불과하다는 대목도 같은 맥락이다. 이 대목은 냉철하리만큼 단호하고 구체적으로 쓰여 있다. 마치 악바리 근성을 심어주는 군기 반장이 이건 되고 저건 안 된다고 조목조목 설명하는 느낌이다. 실천해도 안 된다고 아무리 항변해도 소용없을 것 같다. 그의 대답은 "아직 노력이 덜됐어"라고 나올 것이 뻔하다.


펠릭스 데니스는 개인 자산만 1조원에 달하는 영국의 유명한 괴짜 부자다. 이 책에도 거명되는 리처드 브랜슨(Branson) 버진그룹 회장처럼 언론의 주목을 받는 연예인(?) 같은 사업가다.


그러나 저자가 출판사업의 스타가 되기 이전에는 학교도 제대로 나오지 않은 무일푼의 히피 청년이었다는 점은 무엇을 시사하는 걸까.


독자들은 그가 기업인이자 동시에 시인(詩人)이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그는 연간 200여 권의 책을 읽고 시집을 낼 정도로 책과 글쓰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다. 그는 출판사업으로 성공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자질을 갖춘 셈이다.


바로 자신이 좋아하는 일, 그리고 잘하는 일을 찾아 열심히 하는 게 부자가 되는 길이라는 가르침이 책 속에 녹아있다. 이점은 일본의 부자 연구가인 혼다 켄이나 미국의 부동산 재벌 도널드 트럼프의 생각과도 일맥상통한다.


부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을 가르는 가장 큰 경계선 중 하나는 일을 대하는 태도다. 세계적인 갑부들은 모두가 일 중독자이지만 그 일을 누구보다도 즐겁게 한다.


여기서 간단한 자가테스트를 해보자. 현재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자신은 전문가라고 생각하는가? '그렇다'라고 한다면 그 일이 자신에게 즐거운 일인가? 두 번째 물음의 답이 '아니오' 라면 아쉽지만 부자가 될 확률은 낮다. 이런 관점에서 또 질문을 던져보자. 어떤 사업을 하다가 싫증이 생겼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주저 없이 매각하라' 가 정답이다.


부자 되는 법 또 하나를 정리한다면 바로 열정적인 학습자(learner)가 되라는 점이다. 저자도 그렇지만 우리가 아는 세계적인 갑부들은 학력은 높지 않을 지 몰라도 엄청난 책벌레들이다. 빌 게이츠, 워런 버핏, 존 템플턴, 리카싱 모두 지독한 독서광이다. 저자 역시 '듣고 배우기(listen and learn)'를 부자가 되기 위한 기본 가치(cardinal virtue)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많은 사람들이 가장 맘에 들어 하는 대목이 될지도 모르겠다. 바로 두려워하지 말라는 것이다. 돈을 벌겠다면 그 무엇도 그 누구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나이가 어리고 돈도 없고 경험도 없다면 오히려 부자가 될 최고의 조건을 갖춘 셈이다. 왜냐고? 아무것도 가진 게 없으니 잃을 것도 없기 때문이다.


사업을 하는 사람들의 가장 큰 두려움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다. 이 책의 저자도 수 많은 실패를 경험했다. 그러나 그는 오히려 그런 실패를 즐기면서 다시 도전했다. 인생도 재산도 결국에는 단지 게임에 불과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중요한 것은 이기는 것과 함께 즐길 줄 알아야 한다는 점이다. 저자의 이름이 '행복'을 뜻하는 라틴어 'felix'라는 점은 그래서 흥미롭다.


그러나 저자는 행운을 좇지 말라고 말한다. 오히려 자신에게 행운이 찾아오게 하라고 설득하는 점에서 인간적인 진정성이 느껴진다. 살아있는 한 "불행하다"는 말을 함부로 쓰지 말자. 누구에게나 게임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조선일보

출처 : 물조아~^^*
글쓴이 : 물조아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
LIST
728x90

   한국 최고 펀드매니저 박현주 회장이 칭기즈칸을 본받는다.'


세계적 경제전문 통신인 블룸버그가 4일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의 성공 신화를 조명한 기사를 내보내 화제다. 특히 세계시장 진출을 추진 중인 박 회장이 염두에 둔 인물(경영자로서의 모델)을 '칭기즈칸'이라고 소개했다. 인구 100만명이 채 안 된 몽골족이 150년간 2억명의 세계 인구를 지배한 '연합(동맹)전략'을 박 회장이 벤치마킹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박 회장은 인터뷰에서 "한국인만으로 세계시장 확대는 어렵다"며 "각국에서 현지 인력과 손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대차나 삼성전자의 성공신화를 펀드업계에서도 일굴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를 통해 이머징마켓에 특화한 아시아 최대 펀드 회사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소개했다.


그는 "글로벌 경제의 동력이 미국과 유럽에서 이머징마켓으로 옮겨 갔다"며 미래에셋이 브릭스(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의 주식에 주로 투자하는 배경을 설명했다. 미래에셋은 지난 5년간 베이징 홍콩 런던 뭄바이 싱가포르 등에 지점을 열어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지난 6월엔 미국 씨티그룹의 수석 글로벌 주식투자전략가를 글로벌투자 최고책임자로 영입했다.


세계시장으로 무대를 넓힘에 따라 신용경색 위기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는 지적이다. 블룸버그는 "미래에셋 펀드들이 올 상반기 7조2000억원의 손실을 입는 등 박 회장도 신용경색의 피해자"라며 "이 때문에 그의 해외시장 공략 일정이 계획보다 미뤄지게 됐다"고 전했다.


블룸버그가 박 회장에 주목한 것은 미래에셋의 엄청난 성장 속도 때문이기도 하다. 금융계에서 무명이나 다름없던 박 회장은 지난 10년 사이 아시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금융 매니저가 됐다.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미래에셋의 펀드수익률은 700%를 넘었고 운용자산은 10년 사이 60조원으로 불어났다.


미래에셋의 3대 축인 미래에셋증권 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생명을 통해 총 133조원의 자금을 운용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특히 한국의 주식형펀드 시장은 2000년 4조1000억원 규모에서 최근엔 142조원대로 급팽창했으며,박 회장은 126개 펀드를 통해 주식형펀드 시장의 37%를 주무르고 있다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또 박 회장이 한국의 증권투자 문화를 바꾸는 데 일조했다고 평가했다. 고객을 장기 투자로 유도하기 위해 지금도 '인사이트펀드'처럼 펀드 투자 90일 안에 환매하면 투자 차익의 70%를 수수료로 물린다는 예를 들었다. 객장에 주식시세를 알리는 전광판을 설치하지 않고 "전문가들이 투자하도록 믿고 맡겨라"라는 메시지를 던져 증권가에 화제를 모은 일도 소개했다.

한국경제 장규호 기자

출처 : 물조아~^^*
글쓴이 : 물조아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
LIST
728x90

  "2차전지·발전설비·IPTV·자부품 테마에 관심 가질만"


[이데일리 손희동기자] 불확실한 장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하반기 수요확대가 기대되는 성장산업에 관심을 가지라는 진단이 나왔다.


대우증권은 5일 "시장상황과는 무관한 경쟁력있는 사업군을 형성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찾아야 한다"며 "경기에 민감하지 않으면서 수요의 증가를 통한 신규 시장확대가 이뤄질 수 있는 테마에 관심을 가지라"고 조언했다.


이에 대우증권은 ▲ 2차전지 시장 ▲ 복합화력 및 원자력 발전 설비 ▲ IPTV 시장 ▲ 해외진출 자동차 부품기업 등을 올 하반기 유망 4대 테마로 선정했다.


정근해 대우증권 연구원은 "최근 국내 2차전지 산업이 부흥기에 진입하고 있다"며 "올 하반기 휴대폰과 노트북을 넘어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까지 그 영역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경제성장에 따른 에너지 수요의 증가로 신재생 에너지의 활성화 역시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고 정 연구원은 내다봤다. 대체에너지 발굴로 인해 발전 보조설비 및 제작, 시공업체 들이 주목받게 될 것이란 전망이다.


오는 9월부터 IPTV의 실시간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관련 업체 역시 관심대상이다. IPTV는 통신관련 산업 전반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광통신 장비업체에서부터 셋톱박스, 그리고 이 셋톱박스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우선 주목대상이다. 여기에 KT와 하나로텔레콤, 데이콤 등 서비스 제공업체와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콘텐츠 업체들도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부품업체의 경우, 지금의 주가가 저평가 된 것이라고 정 연구원은 판단했다. 자동차 산업의 중심이 중국, 인도, 동유럽 등 신흥시장으로 재편되고 있어 단순히 국내 경기침체로만 자동차 산업을 바라봐서는 안된다는 평가.


그는 "국내 자동차 시장은 저성장 내지 정체 국면에 접어들고 있지만 완성차 업체의 생산계획에 따라 해외 생산은 꾸준히 늘고 있다"며 "전체적인 기업의 규모와 성장 가능성 그리고 이에 맞는 적정가치를 재평가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우증권은 이 4가지 테마에 맞는 관심종목을 다음과 같이 추천했다.


▲2차전지 관련 기업: 삼성SDI(006400) LG화학(051910) 엘앤에프(066970) 에코프로(086520) 상신이디피(091580) 셋방전지(004490)


▲발전설비 관련 관심기업: 두산중공업(034020) 범우이엔지(083650) S&TC(100840) 케이아이씨(007460)


▲IPTV 관련 기업: SNH(051980) 코위버(056360) 휴맥스(028080) 셀런(013240) 다산네트웍스(039560) 가온미디어(078890) 인프라웨어(041020) KT(030200) 하나로텔레콤(033630) LG데이콤(015940) SBSi(046140) iMBC(052220) KTH(036030)


▲중장기적으로 차별화 가능한 자동차 부품업체: 화신(010690) 성우하이텍(015750) 에스엘(005850) 한일이화(007860) 인지컨트롤스(023800) 세종공업(033530) 평화정공(043370) 끝.

출처 : 물조아~^^*
글쓴이 : 물조아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
LIST
728x90

     http://www.eo.co.kr/lecture/basic/basiclecture.htm 이 사이트 클릭후 주식기법에서 활용하기
증권이란?
주식시장의 종류
주식이란?
 
채권
KOSPI 200 선물시장
옵션시장
 
주가의 특성
주식투자의 기본자세
직접 주식투자를 하려면
 
증권매매 진행방식
간접주식투자 방법
채권투자 방법
 
증권분석이란
기본적 분석방법
기술적 분석 I
 
기술적 분석 II
시장관련 증권용어
주주 및 주식관련용어

출처 : 57꼬들의 합창.....
글쓴이 : 촌장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