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진·영화 PHOTO > 산 Mount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악산 중턱에서 (0) | 2016.05.04 |
---|---|
삼각산 삼천사 (0) | 2016.05.01 |
등산복의 양대 산맥 (0) | 2016.04.13 |
광교산에서... (0) | 2016.04.03 |
민둥산 정상에서... (0) | 2016.03.29 |
관악산 중턱에서 (0) | 2016.05.04 |
---|---|
삼각산 삼천사 (0) | 2016.05.01 |
등산복의 양대 산맥 (0) | 2016.04.13 |
광교산에서... (0) | 2016.04.03 |
민둥산 정상에서... (0) | 2016.03.29 |
[스크랩] 응답하라 정대만 첫 CF..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0) | 2013.12.05 |
---|---|
[스크랩] 응사 볼 때 유심히 봐야할 것 (0) | 2013.12.04 |
[스크랩] SNL.카스2.임진왜란 (0) | 2013.11.28 |
[스크랩] [진짜사나이]약빤 서경석 (0) | 2013.11.27 |
[스크랩] [추사랑] 착한딸 사랑이 (0) | 2013.11.27 |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커피숍 사진 (0) | 2013.08.07 |
---|---|
[스크랩] 제우스 강림.jpg (0) | 2013.08.06 |
물위에 떠 있는 것 같은 그림같은 사원 -Floating Mosque- (0) | 2013.07.27 |
[스크랩] 이상한 나라의 고딩 (0) | 2013.07.09 |
[스크랩] 40년동안 한결같은 사람 (0) | 2013.07.09 |
푸른 언덕에 배낭을 메고~~
황금빛 태양 축제를 여는~~
광야를 향해서 대지를 향해서
먼동이 트는 이른 아침에~~
도시의 소음 나를 반기네~~
하늘을 보며 노래 부르세~♬
메아리 소리가 들려오는~~
계곡속의 흐르는 물찾아~~
그 곳으로 여행을 떠나요~♬
[스크랩] 한국에 놀러 온 일본녀 (0) | 2013.08.05 |
---|---|
[스크랩] 아름다운 우리나라 동쪽끝 섬 에 간 지방공무원 (0) | 2013.07.29 |
말레이시아의 진주 코타키나발루의 매력 BEST 5 [스크랩] (0) | 2013.07.03 |
그섬에 가고 싶다... (0) | 2013.07.03 |
[스크랩] 숲속에서 모노레일을 타는 군위여행 (0) | 2013.07.01 |
시학 강의/ 임영조
대학에 출강한 지 세 학기째다
강의라니! 내가 무얼 안다고?
'시창작기초' 두 시간
'시전공연습' 두 시간
나의 주업은 돈 안 되는 시업(詩業)이지만
강사는 호사스런 부업이다
매양 혀 짧은 소리로
자식 또래 후학들 앞에 선다는
자책이 수시로 나를 찌른다
―시란 무엇인가?
―생이 무엇인지는 알고?
나도 아직 잘은 모른다, 다만
삼십년 남짓 내가 겪은 황홀한 자학
그 아픈 체험을 솔직히 들려줄 뿐이다
누가 보면 딱하고 어림없는 짝사랑
설명하기 무엇한 상사몽 같은
그 내밀한 시학을 가르쳐줄 뿐이다
―시란 무엇인가?
―그건 알아서 뭐 하게!
그게 정 알고 싶으면 너 혼자
열심히 쓰면서 터득하라!
그게 바로 답이니……
오늘 강의 이만 끝.
- 시집『귀로 웃는 집』(창작과 비평사, 1999)
........................................................
문학의 위기니 시의 위기니 하는 담론은 늘 있어왔지만, 그렇다고 문학이 눈 밖으로 완전히 사라지거나 시가 죽은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대학의 문창과는 인기 여부와 상관없이 대부분 용케 살아있고, 문예대학이나 시 창작 교실도 도처에 부지기수로 개설되어 시인의 배출 창구 노릇을 하고 있다. 그러니까 속사정이야 어떻든 외견상으론 아직 건재한 듯 보인다. 시인은 대학에 출강하여 시학 강의를 하는 것이 ‘호사스런 부업’이라고 했지만, 대개는 시인이 대학에서 강의를 할 경우 그게 주업이고 간판이고 명함이라고 여긴다.
‘돈 안 되는 시업(詩業)’이란 만천하가 다 아는 사실이라 새로울 것이 없으며, ‘시란 무엇인가?’하는 물음도 ‘생이 무엇인가’하는 물음처럼 언제나 진부하면서도 난감한 질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시학’에서 예술은 이(利)를 생각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즉, 돈이나 명예나 지위 따위와는 아무 상관없이 자신이 만들거나 쓰고 싶은 것을 사심 없이 만들어 내거나 쓰는 것을 예술이라고 포괄적으로 정의했다. 그는 또한 인간을 ‘모방적 동물’로 보면서, 모방을 통해 쾌락을 느끼고 진실에 보다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다고도 했다.
진실을 향한 대책 없는 모방이 어쩌면 ‘황홀한 자학’일지도 모르겠다. ‘누가 보면 딱하고 어림없는 짝사랑, 설명하기 무엇한 상사몽 같은 그 내밀한 시학’이라지만 무작정 사랑만으로 시가 쓰지는 것은 아니다. 시의 집을 짓기 위해서는 우선 좋은 자재가 필요한데, 시에서의 재료는 폭넓은 체험과 관찰, 독서와 사색을 통해 구해진다. 릴케가 ‘시는 체험’이라고 정의했듯 인간이 느끼는 희로애락에다가 우리 몸의 감각기관을 통하여 경험하는 정신적인 산물이 망라되며, 그것은 열심히 스스로 체득할 일이다.
그리고 많은 사유를 통해 양질의 상상력이 빚어진다. 결국 상상력의 원천은 체험이고 관찰이며 독서이다. 그 상상력의 나래가 활짝 펼쳐질 때 진실에의 접근이 가능하고, 시가 쓰지는 것이며 시 쓰는 즐거움도 얻을 수 있으리라. 시학이나 창작 교실에서의 강의는 이러한 것들을 즐겁고 기꺼이 행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의 다름 아니리라. 그렇다면 그 강의는 꼭 시를 잘 쓰는 유명 시인이 할 필요는 없다. 노래교실에서의 노래를 나훈아와 조용필이 가르치지 않는 것처럼.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배우는 사람의 시간과 비용과 노력을 강사가 말아먹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되겠다.
권순진
오늘 아침 가슴에 와닿는 글 (0) | 2013.07.01 |
---|---|
[스크랩] DC 코믹스 사진 (4) (0) | 2013.06.20 |
[스크랩] 남김... (0) | 2013.06.11 |
[스크랩] (bgm)목소리의 형태 (0) | 2013.06.09 |
[스크랩] 탁주/ 권선희 (0) | 2013.06.04 |
북한산 그리고 곱창전골 & 쇠주 한잔 (0) | 2012.06.27 |
---|---|
[스크랩] 추억속으로, (0) | 2012.06.26 |
시원한 겨울 사진 [스크랩] (0) | 2012.06.23 |
6/20일 팀단합대회로 간 경포대 (0) | 2012.06.22 |
숙부 제일 원주 황골 작은집 풍경 (0) | 2012.06.18 |
오랜만에 찾아간 해운대 비가 내리고 있었다..
부산하면 즐겁고 재미있었던 추억이 있으며 지금은 돌아가셔서 안계시는
우리 외할머니에 대한 추억때문에 맘 한쪽이 애절할때가 있다
세상에 한분밖에 안계시는 우리 친이모가 부산에 살고있으며 지금은
구미쪽으로 이사를 가고 안계시지만 셋째 삼촌까지 부산에 살았으니
여름 겨울방학이면 당연하다는듯 짐을싸고 기차를 타든 버스를 타든
남동생과 함께 이모집을 찾아가 길게는 일주일동안 짧게는 3일동안
사촌언니들과 동생들과 함께 방학을 보냈던 옛추억이 가득한 곳이다..
방학때만 되면 찾아오는 조카들이 귀찮을법도 할텐데 이모는 조카들을 위해
매번 따뜻한 밥을 해주고 부산여행을 시켜줬으니 지금 생각해보면
고맙고 미안한 마음이 먼저 앞선다..
요즘에도 가끔 엄마를 통해서 전화를 하시면 내 안부부터 물어오시니
그동안에 쌓여있는 정도 무시 못하는 모양이다...^^
비가 촉촉히 내리는 해운대 해수욕장... 이모집에서 차로 10분 거리도 안됬던거같다
여름이면 이곳에서 수영을 한답시고 등가죽이 벗겨지는것도 모른채 한여름을 보냈었고
겨울이면 오돌오돌 떨면서도 이모아들 동갑내기 머스마랑 함께 걸었던 기억도 가득한곳이다..
그리고 몇년이 지나 오랜만에 찾아온 해운대는 여기가 어디지..? 하고 생각할정도로
많이 변해있었는데 어찌보면 자연스런 현상인지도 모르겠지만 옛날처럼 자연스러운모습은
사라져버린것에 대한 아쉬움은 오래오래 남아있을거같다..
모처럼 맘먹고 떠나온 경상도 여행 이틀째날은 하늘도 무심하시지.. 비가 내렸다
무지 비싼 통행료를주고 거가대교를 건너 부산을 지나 용궁사까지 갈수있을까..하는 생각이 들정도로
비는 그칠줄 모르고 하루종일 내렸으며 거제에 온김에 통행료를 주고서라도 거가대교를 건너고 싶었다
자욱한 안개와 비로인해 좁은 시야덕분에 거가대교의 웅장한(?) 모습을 볼수없었던 안타까움만 남겨둔다
거가대교어때.. 하고 물어보면 말로 설명할수없으니 직접가바.. 하고 말해줘야지..
살아있는 동안에는 한번정도는 더 오지 않을까..? ^^
영화 해운대를 이곳에서 촬영했다고 하는데 건물도 휩쓸정도로 커다란 파도때문에
함께 보고있었던 우리딸은 부산이 물에 잠겨버린줄알고 이모할머니한테 전화를
해야한다고 떼를 썼었고 가끔 영화를 보면서 현실하고 영화하고 구분을 못하는
경향있는데 그냥 순수하다고 생각하고 싶다...^^
가끔 나도 영화를 보면서 현실하고 영화하고 구분을 못하고 보고나서도 여운이 오래
갔던 영화가 있기에 역시 나를 닮았구나.. 하고 생각하고 웃어넘길때가 있듯이..
촉촉하게 비에 젖은 모래는 바람이불어도 흩어지지 않았고 파도가 밀려와도 휩쓸리지 않았다
쏙쏙 들어가는 모래위를 우산을 받쳐들고 걸으면서도 예전에는 이랬던거같은데 지금은 이렇게
변해버렸네.. 하고 두리번두리번 거리면서 옛기억을 더듬기에 바빴던거같았다..
오랜시간이 지나 찾아간곳에서도 시간이 멈춰버린듯 그때로 돌아가 모래놀이를 하면서
모래와 파도위를 번갈아 가면서 첨벙첨벙 뛰어다니는 내모습이 보인다
참 이상하지.. 인천에도 분명 바다가있는데 인천에서의 기억은 전혀 없으니..ㅡㅡ
덴마크에는 인어공주.. 그리고 이곳 해운대에는 황옥공주의 인어상이 있다
해운대 해수욕장을 지나 동백섬으로 나무 계단을 따라 조금 올라가면 인어상이 바다를 바라보고있는데
먼 옛날 인어나라였던 나란다에 살던 황옥공주가 은혜왕한테 시집온뒤로 고국이그리워
보름달이 뜨면 이곳에서 고국을 그리워하면서 황옥에 비친 나란다 고국을 그리워했다고한다
동백공원을 한바퀴 돌고 싶었지만 점점 거세지는 빗줄기가 심상치가 않았다
그리고 부산은 동백공원만 보기에는 너무도 아쉬움이 많은 곳이기에 더 많은 아쉬움이
생기기전에 이곳을 벗어나야만 했었고 예정에 없었던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시간을
많이 소비했으니 어두워졌을때 해동용궁사에 도착할거같아서 조바심만 심해져서
더이상 동백섬을 돌아볼수가 없었다...
봄이면 동백공원 주변으로 빨간 동백꽃을 볼수있다고하니 그때쯤이면
한번 더 와도 되겠지만 시간은 많은데 돈이없는..^^ 백수생활동안에
다시 또 부산에 올수있을지.. 또 올수있을꺼야.... 암암암..^^ ㅎㅎ
번갯불에 콩볶아먹듯...^^ 부랴부랴 돌아본 해운대와 동백공원과 하얀등대
화창한날에 동백공원에 동백꽃이 가득할때 다시 찾아올거라 약속해본다...
[스크랩] 꽃과 바다가 함께 살고있는 백수해안도로.. (0) | 2011.05.04 |
---|---|
[스크랩] 서민의 영양식 고등어와 오징어는? (0) | 2011.04.19 |
[스크랩] 驛馬煞 (0) | 2011.03.07 |
[스크랩] 2010년11월27일 동해시에 뜬 무지개 (0) | 2010.12.09 |
[스크랩] 갈라파고스 2010 (DIVE AWAY) (0) | 2010.12.09 |
|
I Just Called To Say I Love You -Song by Stevie Wonder (0) | 2009.01.07 |
---|---|
[스크랩] [동영상/MV] DJ Earworm - Viva La Pop / 2008 USA 팝 빌보드 Top 25 (0) | 2009.01.06 |
The First Time ever I saw your face -By Celine Dion (0) | 2008.12.16 |
Bette Davis Eyes -By Kim Carnes ... 좋은 노래 (0) | 2008.12.16 |
We'll Meet Again My Friends -By Isla Grant (0) | 2008.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