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키스하기 전에 하는 말들』알랭드 보통...좋은 책 :: 록키의 나만의 세상
728x90

 

 

 출판사 서평

 

나는 너를 왜 사랑하는가
알게 모르게 소리 소문 없이 팔려나가고 있는 책이 있다. 별다른 광고나 홍보도 없었지만 입소문은 입소문을 타고 전해졌고 독자들은 이 책을 꾸준히 찾아 읽었다.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가 바로 그것이다. 하루에도 수백 권의 책이 쏟아져 나오지만 이 책은 텍스트만의 힘으로 독자들을 하나둘씩 끌어들였고 읽은 독자들을 드 보통의 추종자로 만들었다. 독자들이 이 책을 사보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제껏 모든 문학이 가장 사랑하고 아껴왔던 가장 대표적인 테마가 무엇인지 우리는 알고 있다. 길거리에서 흐르는 유행가 가사에서 질리지도 않고 끊임없이 흘러나오는 그 단어. 그렇다. 그것은 사랑이다. 그 시대와 지역, 사건이 복잡하게 수많은 개성들 속에 섞여서 셀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양상으로 변주되기는 하였으나 우리가 이제껏 쓰고 읽어왔던 수많은 문학은 연애를 주요한 모티프로 삼고 있다. 연애는 인류가 이 세상에 존재하는 한 영원히 변치 않을 테마이자 우리가 영원히 읽어야 할 텍스트일 것이다. 사랑에 대한 글이되 이 알랭 드 보통이 말하는 사랑에 대한 이야기는 지난 시절 지적인 사랑담론에 목말라 했던 지식인 사이에서 조용하지만 뜨거운 반응을 일으켰고 급기야는 절대적인 심정적 지지를 이끌어냈던 롤랑 바르트의 책 『사랑의 단상』에서 그 발상의 단초를 빚지고 있기도 하다. 깊고 섬세한 언어를 통해‘사랑’의 정신과 철학을 정치하게 분석함으로써 사랑하는 이들의 통절한 깨달음을 이끌어냈던 롤랑 바르트를 기억하는 사람이라면 알랭 드 보통이 이를 소설의 형식을 차용하여 표현한 사랑의 언어에 대해서도 무릎 치고 감탄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독특한 이력을 가지고 있는 영국의 철학자 알랭 드 보통은 이 사랑의 테마를 자신만의 촌철살인적인 관찰력과 고상한 위트, 발랄한 상상력으로 철학적 연애소설이랄 수 있는 우리가 경험해보지 못한 전인미답의 경지를 개척했다. 전작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는 비행기에서 우연히 만난 남녀가 한눈에 사랑에 빠졌다가 어떻게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게 되는지, 어떻게 다투고 미워하고 다시 화해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사랑의 절정에 다다르는지 그리고 열정이 식고 난 뒤 어떻게 만남을 정리하게 되었는지 평범한 남녀가 거치는 사랑의 전 과정을 다루었다. 연애 당사자가 자신의 마음속을 주도면밀하게 관찰하면서 1인칭의 관점에서 썼다. 이 책은 완전한 픽션이었다. 그러나 연애의 핵심적인 순간을 잘 포착하고 묘파해냄으로써 독자들의 뜨거운 동감 100% +자신의 상황에 감정이입하기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고 소문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퍼져나갔으며 급기야는 현대의 청춘남녀들에게 연애의 교과서로 자리 잡기에 이르렀다.

전기와 소설을 결합한 새로운 글쓰기
새로운 글쓰기 방식을 실험하고 있는 이 책 『키스하기 전에 우리가 하는 말들』은 사랑이 아닌 한 인간, 그것도 젊은 여성에 대한 전기를 써보겠다는 욕구에서 비롯되고 있다. 우리가 아는 전기의 주인공들은 대개 저명하거나 악명 높은 사람들이다. 그들은 그들의 인생을 쓴 작가와는 서로 일면식도 없을 뿐더러 대개는 이미 세상을 떠난 사람들이다. 이 책은 잘 알지 못하는 누군가의 삶을 함부로 도식화해버리는 전통적인 전기 집필의 규범을 과감하게 거부하는 도전적 작품이다. 이 소설은 전기와 전기에 대한 문학비평, 연애소설을 골고루 혼합한 새로운 형태의 글쓰기를 보여준다. 독자는 글을 읽어가면서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오가는 이 인물들의 면면을 확인하고 현실이 허구화하는 또는 허구가 현...
목차
시작하며
어린 시절
가족 관계
음식과 이사벨
기억
사생활
다른 이의 눈을 통해 본 세상
남자와 여자
심리
결말을 찾아서
끝내며
옮긴이의 말
본문중에서
비일상적인 것의 가치는 복잡한 과거에서가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닿을 수 있는 우리의 일상 속에서 전기 집필 전통의 숨겨진 역할을 찾아가는 과정에 있는 것이리라. - 다른 이들을 이해하기 위하여
(/p.23)

일반적인 전기와 전혀 다르게 전기를 시작해보고 싶었다. 이사벨의 연대기 뒤편에 숨어 있는 것을 쓰기에 앞서, 내가 그녀를 어떻게 알게 됐는지부터 간략하게나마 쓰고 넘어가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았다. 그녀를 만나고 나서 내가 느낀 감정들은 무엇이고, 또 어떻게 전개됐는지, 내가 파악한 것은 무엇이고 잘못 이해한 것은 무엇인지, 어디에서 편견이 개입됐고, 통찰은 어떻게 생기게 됐는지.
(/p.46)

다른 사람을 잘 알지 못했을 때, 우리는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그들이 어떤 사람인지 성급하게 결정해버린다. 누군가는 어떤 사람을 만나면서 판단-우리의 무지만을 요구하는-을 보류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주장할지도 모르겠다.
(/p.55)

우리는 사적으로는 중요하게 간주하면서 공적으로는 사소하게 치부해버리는 것들 속에서 한 개인의 본질을 찾는 경향이 있다. 연인은 상대방의 종교, 직업 혹은 문학에 관한 취향에 대해 반대의사를 표시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에 뒤따르는 나머지 자잘한 문제들을 설명하는 능력은 부족할 것이다. 음식을 먹을 때 시끄럽고 게걸스럽게 먹는다거나 나이프나 포크를 제대로 놓지 않는다거나, 빵 조각으로 고기 소스를 닦아 먹는다거나 하는 문제들에 대한 견해는 어떨까. 상대방에 대해 잘 파악하기도 전에 관계의 밑바닥에 너무 가까워졌기 때문에 상대의 특성들을 직관적으로 파악해버린 것이라면 또 어떨까.
(/p.114)

사회는 우리에게 명료함을 강요하고, 우리는 의식 속에 있는 통사법을 벗어난 끈적끈적한 생각의 덩어리를 끄집어낼 수 없게 된다. 소시지 안에 내용물을 채워넣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우리는 말하는 것, 동사와 명사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 형용사를 곳곳에 배치하는 것, 깔끔하게 문장을 끝맺는 법을 배우고 나서야 전체의 체계를 구성하는 법을 알게 되는 것이다.
(/p.137)

친밀해지는 것은 유혹과는 정반대의 과정을 거친다. 친밀함을 보인다는 것은 상대방으로부터 비호의적인 판단-사랑할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는-이 초래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혹이 자신의 가장 멋진 모습 또는 가장 매혹적인 정장차림을 보여주는 것 속에서 발견된다면, 친밀함은 가장 상처받기 쉬운 모습 또는 가장 절 멋진 발톱 속에서 발견된다.
(/p.157)
 저자소개

알랭 드 보통 [저]   알랭 드 보통은 1969년에 스위스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런던에 살면서 런던 대학교에서 대학원생 철학 프로그램을 지도하고 있다. 그는 <낭만적 운동(The Romantic Movement)>(1994), <입맞추고 말하기(Kiss & Tell)>(1995), <프루스트가 당신의 인생을 어떻게 바꿀 수 있나(How Proust Can Change Your Life)>(1997), <드 보통의 삶의 철학산책(The Consolations of Philosophy)>(2002)의 저자이다. 그의 작품은 20여개 언어로 번역이 되었고 지난 11년간 세계 각국에서 수십만 부씩 팔리며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현재는 런던에 살면서 건축에 관한 책을 집칠하고 있다.

 

이강룡 [역]   한림대 영문과를 졸업했다. 서강대국문과 대학원 재학 중 한겨레신문사에 입사해, 인터넷한겨레 기자 및 기획자로 일했으며 작가, 번역가로 활동한다. 인터넷 시대의 글 읽기 블로그 시대의 글쓰기』를 썼으며, 알랭 드 보통의 『키스하기 전에 우리가 하는 말들』과 존 백스터의 『파리에 가면 키스를 훔쳐라』를 번역했다.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