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안경을 벗은 유재석의 그나마 멋지게 스타일이 살아있는 얼굴 사진과 쳐다보기 심히 민망한 얼굴 사진이 나란히 세워지고 그 밑에 포복절도 촌철살인의 캡션이 붙는다. '생얼의 그나마 봐줄만한 예'와 '얼굴에 못으로 안경을 고정하고 싶은 예'. 연예대상을 수상하는 진지한 얼굴의 유재석과 '패밀리가 떴다'에서 굴욕을 당하는 유재석의 모습을 세워두고 '예능 신의 위엄이 넘치는 예'와 '예능신의 위엄 따위 개나 줘버린 예'라는 설명이 붙는다.
이것은 최근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유재석의 좋은 예 나쁜 예'라는 네티즌이 만들어낸 콘텐츠다. 이른바 '좋은 예 나쁜 예'라고 불리는 이 콘텐츠는 이미 2PM, 2AM, 빅뱅, 샤이니, 슈퍼주니어 등등 아이돌을 중심으로 만들어져 하나의 인터넷 놀이 문화로 자리 잡은 것이다. 이 놀이는 이제 아이돌을 넘어서 점차 그 분야를 넓혀가고 있는 중이다. '유재석의 좋은 예 나쁜 예'에 이어 나온 '무한도전의 좋은 예 나쁜 예'는 이 놀이가 그 대상을 넓혀가고 있다는 증거다.
이 놀이의 콘셉트는 간단하면서도 강력하다. 비교되는 사진을 병치하고 캡션을 다는 것이다. 먼저 좋은 예, 즉 멋진 예가 보여지고 다음에 나쁜 예, 즉 망가진 예를 보여줌으로써 그 비교점이 가져오는 웃음을 유발한다. 콘셉트는 단순하지만 그 대상에 대한 애정이 없으면 할 수 없는 놀이라는 점에서 팬덤 문화의 확장으로도 볼 수 있다. 한 연예인의 지금껏 해온 활동을 담은 영상들을 캡처하고 분석(?)하는 작업은 그 연예인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없다면 가능하지 않은 일이다.
흥미로운 건, 이 놀이를 통해 네티즌들의 성향이 읽혀진다는 점이다. 이 놀이는 과거 외부의 콘텐츠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던 데서 이제는 적극적으로 만들고 자기 것화 하려는 성향을 보여준 UCC의 성격을 그대로 가진다. 자신들이 좋아하는 연예인의 활동은 누군가에 의해 영상으로 기록되기 마련인데, 그 기록을 그저 바라보는 게 아니라 거기에 대한 나름의 단평을 다는 식이다.
그 단평이 과거의 기준이던 '옳고 그름'이 아니라, 현재의 기준이 되고 있는 '좋고 나쁨'으로 나타나는 것도 흥미롭다. 호불호는 개인적인 취향을 담기 마련인데, 그렇게 개인화된 취향을 공통의 주제를 통해 공감하고 싶어하는 네티즌들의 성향이 그 속에는 숨겨져 있다. 물론 팬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지만, 연예인은 누구나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놀이의 재료 즉 영상물이 많은 데다, 그 호불호 또한 분명하기 때문에 이 놀이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놀이가 갖는 '개인적인 취향에 대한 공감'이라는 측면은 이른바 '서열놀이'라고 불리는 놀이에서도 발견된다. 이 놀이는 주로 아이돌 그룹이나 리얼 버라이어티쇼의 멤버들 같은 서열이 가능한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데, 특정한 기준을 내세워 각각의 서열을 제시하는 것이다. 2PM을 예로 들면, 대중인지도에서는 닉쿤이 서열 1위지만 팬덤 내 인기에서는 우영이 1위이고, 언어능력에서는 4개 국어를 하는 닉쿤이 1위이지만, 한국어 구사능력에서는 택연이 1위인 식이다. 즉 기준을 뭘로 정하느냐에 따라 서열이 달라지는 이 놀이방식은 은연 중에 획일적으로 구획되곤 하는 기성세대의 등수문화를 뒤집는다. 즉 이런 면에서는 꼴찌라도 이런 면에서는 1등이라는 식이다.
물론 놀이는 즐겁기 때문에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인터넷 놀이는 그 매체적 속성 때문에 일정한 공감의 형식을 취하게 된다. 바로 이 부분에서 현 네티즌들이 갖고 있는 성향의 일단을 발견할 수 있다. 거기에는 자신들이 가진 취향을 타인과 공감하려는 강한 욕망과 함께 다양한 취향에 대한 인정을 요구하는 모습이 발견된다. 즐거운 놀이를 통한 공감에의 희구. 그 강력한 소통의 욕구가 이 놀이를 뜨겁게 만드는 이유다.
[TV리포트] SBS ‘일요일이 좋다-패밀리가 떴다’(이하 ‘패떴’)를 둘러싼 조작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제작진의 해명에도 불구, 조작 논란을 넘어 ‘진실공방’이라는 새 국면을 맞게 됐다.
지난 25일 방송에서 아침식사 재료를 조달하기 위해 바다낚시에 나선 멤버 김종국이 참돔을 낚은 상황이 연출된 것이라는 게 논란의 골자. 시청자들은 참돔의 입에 걸린 바늘이 역방향으로 꽂혀있던 점과 금방 잡은 참돔답지 않게 시들시들하다는 점에서 미뤄 볼 때 조작이 확실하다며 의심의 눈초리를 보냈다.
이에 대해 지난 28일, ‘패떴’의 제작진이 “대응할 가치를 못 느낀다”며 입장을 밝혔다. 모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설정이라는 건 말이 안 된다”며 “논란에 대해 하나하나 대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일축, 스스로 논란의 종지부를 찍었다.
그러나 제작진의 이러한 해명은 여론을 가라앉히기는커녕, 더욱 가열시키는 자충수가 됐다.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판에 비판 여론이 형성된데 이어 네티즌들의 목격담 또한 줄을 이으며 진실공방으로 치달았다.
다음 날인 29일에는 “김종국이 참돔을 건져 올리는 촬영을 했는데 잠수부들이 물속에서 미리 잡은 참돔을 끼워줬다고 한다”는 내용이 담긴 블로그가 인터넷을 통해 퍼지며 의혹을 더했다.
네티즌들은 모 커뮤니티 게시판을 통해 “논란이 나오게 된 점 사과한다고 한 마디만 하면 될 것을, 일을 크게 키웠다” “왜 가만히 있으면 지나갈 일을 확대시키는 건가” “리얼이 아닌 시트콤이라 칭하는 게 자연스러울 듯 하다” “아무리 예능이라지만 늘 리얼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에서 저런 뻔한 짓을 한다는 건 문제”라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반면 몇몇 네티즌들은 “이 정도는 다른 예능에서도 다 하는 거 아닌가” “진짜면 어떻고 아니면 또 어떤지, 보는 입장에서 재밌으면 보는 거고 아니면 마는 건데, 이런 반응을 보일 필요가 있나” “별게 다 논란, 참돔 한 마리가 사람 잡네”라는 의견을 나타내며 방송 중 일어날 수 있는 하나의 상황이 파문으로 번진데 대해 의아스러운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