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 태그의 글 목록 (2 Page) :: 록키의 나만의 세상
728x90

 

출근길에 발견한 봄 꽃

반응형
LIST

'과학·자연 > 꽃 Flow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산 순환도로 예쁜 벚꽂  (0) 2015.04.12
조팝나무 예쁜 꽃  (0) 2015.04.08
봄을 알리는 목련꽃망울 과 은방울꽃  (0) 2015.03.29
추운 겨울에 꽃 피운 군자란  (0) 2015.01.06
꽃과 열매  (0) 2014.08.15
728x90

 

피었구나...그래 그래 꽃송이가...피었네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 천년고찰 의성 고운사 ]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원년(서기 681년)에 해동 화엄종의 시조이신 의상대사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부용반개형상(연꽃이 반쯤 핀 형국)의 천하명당에 위치한 이 사찰은 원래 高雲寺였다.

신라말 불교와 유교ㆍ도교에 모두 통달하여 신선이 되었다는 최치원이 여지ㆍ여사 양대사와 함께

가운루(경북 유형문화재 제151호)와 우화루를 건축한 이후 그의 호인 孤雲을 빌어서 孤雲寺로

바뀌게 되었다

 

고려 태조 왕건의 스승이자 풍수지리사상의 시조로 받들어지는 도선국사가 가람을 크게 일으켜

세웠으며 그 당시 사찰의 규모가 五法堂十房舍(5동의 법당과 10개의 요사채)였다고 한다.

현존하는 약사전의 부처님(보물 제246호)과 나한전 앞의 삼층석탑(경북 문화재자료 제28호)은

도선국사께서 조성하신 것들이다.

지금은 조계종 제16교구의 본사로 의성, 안동, 영주, 봉화, 영양에 산재한 60여 대소사찰들을

관장하고 있다.

 

이 정도 규모 이상의 고찰로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입장료를 받지 않는 고운사는 민가로부터

3km 정도 떨어져 오염되지 않은 순수함을 자랑하며 일주문에 이르는 솔밭 사이 비포장길은 부처님께

진실된 마음으로 다소곳이 다가서는 불자들의 마음처럼 포근하고 정감넘치는 모양을 하고 있다.

청정하고 엄격한 수행가풍을 자랑하는 고금당선원에서 정진하는 스님들을 비롯한 고운사의

모든 대중들은 위로는 진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제도하는 대승불교의 참모습을 구현하기

위해 새벽의 찬공기를 가르며 부처님전에 발원을 멈추지 않는다.

 

고운 최치원(崔致遠,857~?)은 신라시대의 학자로서 경주 최씨의 시조이다.

 

 

 

 

 

 

 

 

 

 

 

 

 

 

 

 

 

 

 

 

 

 

 

 

 

 

 

 

 

 

 

 

 

 

 

 

 

 

 

 

 

 

 

 

 

출처 : n 고운산악회
글쓴이 : 겨울바다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
LIST
728x90

 

고운산악회 창립하고져 할때

 산악회 명칭으로 고심을 많이 하던 중

우연히 경북 의성의 고운사를 참배중

아````

이거구나

최치원의 호인 [孤雲]을 따서

우리 고운산악회 [고 운]이 되었습니다.

5월 산행시 의성 금성산을 산행한 후 오시는 길에

참배할 수 있는 기회가있길 기대해봅니다.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원년(서기 681년)에 해동 화엄종의 시조이신 의상대사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부용반개형상(연꽃이

반쯤 핀 형국)의 천하명당에 위치한 이 사찰은 원래 高雲寺였다.

 

  신라말 불교와 유교ㆍ도교에 모두 통달하여 신선이 되었다는 최치원이 여지ㆍ여사 양대사와 함께 가운루(경북 유형문화재

제151호)와 우화루를 건축한 이후 그의 호인 孤雲을 빌어서 孤雲寺로 바뀌게 되었다

고려 태조 왕건의 스승이자 풍수지리사상의 시조로 받들어지는 도선국사가 가람을 크게 일으켜 세웠으며 그 당시 사찰의 규모가

 五法堂十房舍(5동의 법당과 10개의 요사채)였다고 한다. 현존하는 약사전의 부처님(보물 제246호)과 나한전 앞의 삼층석탑

(경북 문화재자료 제28호)은 도선국사께서 조성하신 것들이다.

 

지금은 조계종 제16교구의 본사로 의성, 안동, 영주, 봉화, 영양에 산재한 60여 대소사찰들을 관장하고 있다.

이 정도 규모 이상의 고찰로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입장료를 받지 않는 고운사는 민가로부터 3km 정도 떨어져 오염되지 않은

순수함을 자랑하며 일주문에 이르는 솔밭 사이 비포장길은 부처님께 진실된 마음으로 다소곳이 다가서는 불자들의 마음처럼

포근하고 정감넘치는 모양을 하고 있다.

 

청정하고 엄격한 수행가풍을 자랑하는 고금당선원에서 정진하는 스님들을 비롯한 고운사의 모든 대중들은 위로는 진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제도하는 대승불교의 참모습을 구현하기 위해 새벽의 찬공기를 가르며 부처님전에 발원을 멈추지

않는다.

고운 최치원(崔致遠,857~?)은 신라시대의 학자로서 경주 최씨의 시조이다.

 

 

 

 

 

 

 

 

 

 

 

 

 

 

 

 

 

 

 

 

 

 

 

 

 

 

 

 

 

 

 

 

 

 

 

 

 

 

 

 

 

 

 

 

 

 

출처 : n 고운산악회
글쓴이 : 겨울바다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
LIST
728x90

 

2013.04.20.

눈오는4월 화창한 토요일.

차기 산행지로 계획산 의성 금성산를 답사하기 위해 찾아간 정수사입니다.

^^^^^^^^^^^

경북 의성군 금성면

비봉산과 금성산 사이, 수정계곡에 자리한 수정사.

예로부터 맑은 물이 풍부하다고 해서 수정사라고 했을까요?

그 이름처럼 달디단 약수가 여행자의 갈증을 채워주는 자그마한 절집이 있습니다.

백과사전에 나오는 수정사[ 水淨寺 ]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이다. 신라 신문왕(재위:681∼691) 때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1481년(조선 성종 12)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에는 수량사(修量寺)라고 나와 있으며, 신경준(申景濬:1712∼1781)이 지은 《가람고(伽藍考)》에는 수정사라고 적혀 있다. 1592년(선조 25)

유정(惟政)이 이 절에 머물며 왜군을 격퇴한 바 있다. 1835년(헌종 1) 불이 나서 대광전만 남기고 모두 불에 탄 것을 뒤에 전홍(展鴻)이 옛 절터 약간 위쪽에 중창하였다.

1965년부터 1970년까지 월산(月山)이 요사와 월영루·격외선원·사명영당·영지·축대 등을 세웠으며,

1973년에는 정부의 보조를 받아 성견(性見)이 대광전을 중수하고 향각(香閣)을 중건하였다.

 1993년에는 주지 총혜(聰惠)가 명부전범종각을 새로 짓고 산신각과 설선당을 중수하여 오늘에

 이른다.

건물로는 대광전과 명부전·월영루·격외선원·사명영당·산신각·설선당·요사 등이 있고,

 유물로는 사명당 유정과 전홍·응규(應奎) 등의 영정이 전한다. 절 근처에 유정이 왜군과 싸우던

 금성산성(金城山城)이 있는데, 이 산성은 삼한시대 부족국가인 조문국이 세운 것이라고 한다.

 인근에 조문국의 마지막 왕인 경덕왕릉의 사적지와 1935년에 세운 문익점 면작기념비가 남아 있다.

[출처 : 두산백과]

 

수정사는 크고 웅장하기 보단 아담한 규모의 사찰이다.

대광전 앞에서면 눈 앞에 바로 금성산이 버티고 서 있으며 뒤로는 비봉산이 있어 아늑하면서도

장한 기운이 느껴진다. 대광전 바로 뜰앞에는 사시사철 마르지 않는 맑은 샘물이 있고,

대광전을 받치고 있는 자연석들이 꼭 너럭바위를 보는 듯 하다. 이 자연석은 말더듬이 불목하니

박처사의 역작이기도 하다. 심산유곡에 홀로 피어난 연꽃처럼 수줍게 세월을 삭이고 있는 가람,

수정사는 속세에 찌든 속인들이 찾아 들어 영혼을 헹구고 가기에 안성맞춤인 곳이다. 봄이면 온갖

야생화가 지천으로 피어 있는 산책로를 따라 가다보면 수정사 입구의 철쭉무리가 행인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특히 수정사의 벚꽃이 한창인 때에 산사를 찾으면 꽃보라가 지는 풍경이 너무나

황홀해서 화엄 만다라를 연상케 하는 광경이다. 아직 모르는 사람이 더 많은 수정사지만 어쩌면 너무

많은 세간의 무관심을 즐기고 있는 지도 모른다. 지금 찾아 오는 사람들에게는 너무나 한적하고

훌륭한 휴식처가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정사에는 부처님의 미소를 그데로 닮은 원담 스님이 주지소임을 맡고 계신다.

 

출처 : n 고운산악회
글쓴이 : 겨울바다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
LIST
728x90

 

 

터진다/ 김현숙

 

 

개나리 꽃망울

터진다

감나무에 새잎

터진다

개구리 입

터진다

놀이동산에 팝콘

터진다

아이들 웃음

터진다

 

남에서

북으로

봄, 봄, 봄

터진다

 

- 제8회 <푸른문학상>‘새로운 시인상’ 수상작

..............................................

 

 머리터럭 나고 수십 년 이 땅의 계절변화를 지켜본 바로는 겨울이 지나면 반드시 봄은 찾아왔습니다. 그러니 기다리지 않아도 어느덧 봄이고, 봄은 올해도 어김없이 우리 곁으로 돌아왔습니다. 아직 낮과 밤의 일교차가 벌어져 두꺼운 옷을 과감하게 훌러덩 내벗어던지진 못해도 낮 기온이 20도를 넘겨 얼굴을 스치는 공기가 보름 전과는 확연히 차이가 나고 코끝에서 느껴지는 봄의 풍미도 물씬합니다.

 

 봄을 마중하다보면 가장 먼저 복수초가 삐죽 올라옵니다. 예고 없이 찾아오는 기쁨이라고나 할까요. 하지만 귀를 땅바닥에 붙이고 봄 오는 소리를 적극적으로 듣지 않는 한, 복수초가 땅위로 올라오는 조짐을 눈치 채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복수초의 개화를 ‘터진다’라고 표현하기엔 왠지 어색하지요. 다음으로 이른 봄꽃인 동백꽃도 이미 2월 하순부터 피기 시작해 이즈음 따스한 봄 햇살에 붉은 꽃망울을 활짝 다 터트렸습니다.

 

 하지만 동백을 봄의 전령이라 하기엔 좀 뭣합니다. 아무래도 봄의 전령이라면 개나리와 진달래가 아닐까요. 그런데 이런 봄꽃들이 올해는 평년보다 조금 늦게 꽃망울을 터뜨릴 전망이라는군요. 개나리는 남쪽에서부터 곧 개화할 것이란 화신이 접수되었고 진달래도 하순이면 톡 터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울은 그보다 조금 늦어지겠지만, 성미 급한 놈은 포근한 햇살을 머금고 이미 상큼한 봄을 내밀었습니다.

 

 감나무에 새잎이 터지기 시작할 때 일괄적으로 조망되는 나무의 풍경도, 나무를 품고 있는 흙빛도 전과는 확연히 달라졌습니다. 겨우내 움츠리고 있던 작은 생명들이 서서히 기지개를 켜는 것과 동시에 나타나는 뚜렷한 변화입니다. 겨울잠에서 깨어난 개구리는 이미 폴짝폴짝 활동을 개시했고요. 벌 나비 곤충들도 제 일로 분주하고 기타 등등 꽃들과 식물들도 저마다의 색을 드러낼 준비를 이미 마쳤습니다.

 

 지난 주말 나들이에서 보니 목련도 꽃망울을 한껏 머금었더군요. 머지않아 분홍빛 벚꽃도 팝콘처럼 터지겠지요. 동시에 아이들 웃음이 터지고 탄성이 터지고 환호성이 터질 것입니다. 이 동시처럼 리듬감과 생동감 있게 세상의 모든 봄이 차례로 톡톡 터질 것입니다. 하지만 ‘과다노출’로 벌금을 물리는 따위의 분통터지는 경우나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일은 없으면 합니다. 또한 그럴 리 없겠지만 대포가 터지고 전쟁이 터지는 일만큼은 절대사절입니다.

 

 

권순진

 

 

출처 : 詩하늘 통신
글쓴이 : 제4막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
LIST

+ Recent posts